해석 모델 구성
1. LUSAS 실행
LUSAS를 실행하면, 프로그램 상단 주메뉴에 KEPCO 메뉴가 표시됩니다.
2. Pylon Definition 정의
주 메뉴명 | 1차 메뉴명 | 2차 메뉴명 | 주요 내용 |
|---|---|---|---|
KEPCO | Pylon Definition | 철탑 제원 정의 |
송전철탑 해석 모델링에 필요한 제원들과 기하특성, 재료특성 등을 Pylon Definition에서 정의합니다. Voltage 3가지 (765kV, 345kV, 154kV) 각각에 현수형 (Pylon Type : A,F,SF) 과 내장형 (Pylon Type : B,C,D,E) 에 대한 표준 도면에 따른 초기값이 내장되어 있으며, 초기값으로부터 설계하고자 하는 철탑의 제원에 맞도록 수정합니다.
암의 개수는 1방향인 경우 각 향 회선수에 따라 4개 혹은 7개, 2방향인 경우 8개 혹은 14개, 3방향인 경우 12개 혹은 21개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암 구성 상세는 Upper Body 탭에서 지정됩니다.각 절간별로 제원과 부재의 종류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으며, Arm Length = 0 으로 입력하면, 암이 작도 되지 않는데, 이 점을 활용하면, 암의 개수 1개 ~ 21개까지 자유로이 모델링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정의가 완료되면, LUSAS 좌측 TrewView 에 저장되며, 더블클릭으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
3. 해석 모델 구성
주 메뉴명 | 1차 메뉴명 | 2차 메뉴명 | 주요 내용 |
|---|---|---|---|
KEPCO | Build Analysis Model | 해석 모델 구성 |
정의된 Pylon Definition 중 하나를 선택하면, 지정된 조건에 맞는 해석 모델이 생성됩니다.
(1) 모델 형상
Pylon Definition 기본값으로 생성된 모델의 형상은 아래와 같습니다.
(2) 그룹 / 속성 / 하중케이스
아래로부터 각 절간별로 번호를 붙여 그룹이 생성되며, 각 하중들을 별도의 하중케이스로 생성합니다.좌측 Treeview 중 Group 탭에서 그룹핑 상세, Attribute 탭에서 요소 구성, 기하특성, 재료특성, 경계조건, 하중정의 상세, Loadcase 탭에서 하중조합에 필요한 하중 케이스로 정리된 것을 확인합니다.
4. 하중조합 생성
주 메뉴명 | 1차 메뉴명 | 2차 메뉴명 | 주요 내용 |
|---|---|---|---|
KEPCO | Add Load Combination | 설계하중조합 생성 |
모델에 정의되어 있는 각 개별 하중케이스들을 대상으로 하중계수를 포함한 하중조합을 정의합니다.
기본값으로 Default 를 선택하고 OK 를 누르면, 현재 생성된 철탑의 형상에 필요한 하중조합을 생성하게 됩니다.
예를 들어, 2개 방향의 암이 존재하고, 각 암당 1회선이고, 계각이 없어, X축 및 Y축에 대해 대칭인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2개의 하중조합이 생성됩니다.
가장 많은 개수의 하중조합은, 3개 방향의 암이 존재하고 암당 2회선이고, 계갹이 있어 X축 혹은 Y축에 대칭이 되지 않아 풍하중을 각 방향별로 검토해야 하는 경우이며, 이 경우는 총 52개의 하중조합이 생성됩니다.
하중조합 생성방법으로 ‘Solver’ 과 ‘Modeller at post-processing’ 중 Solver를 선택할 수 있는데,
‘Solver’ 로 선택하면 구조해석을 수행할 때 하중조합도 같이 해석이 됩니다.
‘Modeller at post-processing’을 선택하면, 구조해석은 일반하중 케이스에 대해서만 수행되며, 하중조합은 Post-processing 과정에서 각 하중케이스별 결과를 조합하여 표시하게 되므로, 하중조합을 변경하여 테스트하기에는 유용하나 결과처리 시간이 다소 간 소요되게 됩니다.
5. 해석 수행
툴바 중 Solve Now (=) 버튼을 눌러 해석을 수행합니다.
해석을 수행하면, Loadcase 탭에서 하중케이스 앞에 무지개 모양이 표시됩니다. 흑백으로 표시되나, 현재 활성화 된 하중케이스는 컬러로 표시됩니다.
